쉬트방수

   2~3mm 정도의 얇은 방수막을 이용하여 방수층을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SHEET의 재질은
고무아스팔트 쉬트 EPDM계의 쉬트 등이 있다.
  반면에 쉬트와 쉬트 이음매 시공이 까다롭고 하자발생이 우려되고 하자발생시 누수 부위 진단이 어렵다.

◆ 노출형 쉬트방수

   노출형방수쉬트는 중심기재인 폴리에스터 부직포에 SBS개량아스팔트를 완전히 침적시킨 후 일정두께로 코팅한 다음 자외선
  차단 및 건물의 아름다운 외관을 위해 표면을 착색사로 처리한 선진형 노출방수공법이다. 옥상바탕면의 손상이 심하여 노출형
  우레탄을 시공할 수 없는 경우 우레탄을 대체하여 시공할 수 있다.

  중심기재로서 단위중량이 높은 폴리에스터 부직포와 고품질의 SBS 콤파운드가 완벽하게 일체화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①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등 제반 물리적 특성이 뛰어나다..
  ② 반복적인 신축에 대한 내피로성이 우수하다.
  ③ 노출방수재로서 요구되는 내후성 및 내구성이 탁월하다.
  ④ 내열성이 우수하여 토치 시공시 작업성이 좋다.
  ⑤ 색상이 다양하다.
  ⑥ 부분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관리비가 거의 들지 않는다.
  ⑦ 노출방수로 방수층이 가볍기 때문에 건축물에 미치는 하중의 부담이 거의 없다.
  ⑧ 노출 보행이 가능하며 공간 활용에 용이하다.
  ⑨ 시트를 바닥에 까는 시공법으로 타 도막방수의 제품배합에 의한 하자가 없으며, 부풀어 오르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 E.P.D.M 쉬트방수

 1. EPDM( Ethyleme Propyleme Dieme Monomer)이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류의 공증합체로 구성된 포리머로써 내후성, 내열노화성, 내오존이 아주 뛰어난 탄성체이다.
    특히 화학적 안전성이 뛰어나 초기물성이 20년이상 유지되고 진동, 습기, 화학물질 등 외부적 환경요인에도 물성변화가 없어
    세계적으로 가장 각광받는 방수재로 개발되었으며 국.내외적으로 중요건물의 대부분의 방수재가 EPDM으로 되어있음도 이같은
    이유이다.
    또, EPDM 자체가 워낙 화학적으로 안정되어있어 타 물질과 화학적 반응을 하지 않다보니 시트와 시트를 완전하게 접합할 수
    있는 접착제가 개발되지 않아 Joint 부의 탈락이 문제가 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열융착식 EPDM이 개발되어 시트와 시트를
    Hot Air를 이용하여Welding하는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2. EPDM의 장점
  ① 내후성, 내노화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공기중의 산소, 오존, 및 자외선으로부터 매우  안정하다.
  ② 고무중에서 비중이 제일 작아 중량이 가벼우며, 얇은 두께의 제품으로도 그성능을 충분히 발휘한다.
  ③ 온도에 따른 물성변화가 적고, 고온 또는 저온시 품질의 변화가 거의 없다.
  ④ 액체 및 기체에 대한 기밀성이 매우 우수하여 단열은 물론 방수기능이 탁월하다.
  ⑤ 바탕재의 균열에 대해서 추종성, 순응성이 우수하여, 균열로 인한 방수층의 파손이 없다.
  ⑥ 이음새의 하자가 거의 없다. ( 4가지 접착 부재료와 코팅재로 마감하여 접착에 신뢰가 있다)
  ⑦ 다양한 색상으로 마감이 가능하다.(기본 색상 : 은색,녹색,청색,주홍색)
      : 탑코팅을 선택하지 않고, EPDM위에 보호몰탈을 타설하여 비노출방수를 할 수 있다.

  3. EPDM의 문제점
   EPDM은 방수재 및 도료업체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아니며, 고무 또는 벨트류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업체에서 제조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본 방수공법이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또한, EPDM 고무와 접착을 위한 부자재가 타 노출형방수재
   보다 비싼편이라 전체적인 공사비가 타 공법에 비해 높다.
   그러나, 방수의 품질과 수명은  타 노출방수공법에 비해 한수 위임은 분명하며, 공장이나 대형빌딩, 학교 및 관공서 건물 등의
   넓은 옥상바닥에 적합하다.

  4. EPDM의 종류
   ① Tape접합식 EPDM시트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일반적인 방법으로써 시트와 시트의 Ovev Ramp부위에 부틸고무를 주원료로 한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코킹으로 마감하는 시트를 말한다.
      작업이 간편하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나 기온변화와 습기 등에 의해 부틸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화 되어 Joint 부위가
      탈락, 누수 될 우려가 높다.
      또한 대부분이 검정색으로 제조되어 Top Coating으로 마감하게 되는데 향후 보수요인 발생시 Top Coating의 도막으로 인해
      제대로 보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② 열융착 EPDM 시트
      Joint부위 접합 및 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써 시트와 시트의 접합을 Hot Air로 Welding접합을 하기 때문에
      탈락의 우려가 없고  시트 제조시 필요한 색상으로 생산되어 별도의 Top Coating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수시 이물질만
      재거 후 용접하면 완벽히 보수된다. 또, EPDM 함유량 등 기타 기능개선으로 인해 Tape 접합식 EPDM시트보다 가격이 높다.

◆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

 콘크리트, 조적, 미장면은 물론 시멘트계 표면에 접착력이 뛰어난 특수 공중합 에멀젼과 시멘트계 특수조합 골재를 주성분으로
 구성된 무기질 탄성 수용성 복합 도막 방수재입니다.
 내균열성, 내구성은 물론 안전성도 우수하며, 높은 신장률, 인장력 및 탄성을 갖고, 균열에 따른 물 및 습기를 흡수하여 체적
 팽창을 일으켜 물의 흐름을 막고, 도막성분에 함유된 할성겔화제의 작용에 의해 화학적으로 생성된 탄산칼슘이 흡착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자기폐쇄작용(자폐성)을 이용한 팽윤공법의 방수재입니다.


 용 도
 화장실, 베란다, 발코니등의 방수, 경보행용 옥상의 노출형 방수, 지하주차장, 수영장, 사우나실, 정수장등의 방수, 일반지하바닥,
 정화조, 물탱크, 댐, 터널등 지하구조

 

 특 징
 습윤면에서도 탁월한 접착력을 발휘하며 수용성이므로 화기와 유독가스 발생의 위험이 없어 지하에서도 안전시공이 가능합니다.
 내후성, 내약품성이 강한 수지와 내식성이 뛰어난 혼화재와의 복합효과에 의해 합적인 내구성이 우수한 방수층이 형성되어
 장기간에 걸쳐 방수기능을 유지합니다.
 혼화재중의 알루미나계 시멘트는 강도의 조기발현성이 있어 에멀젼중의 수분을 반응에 이용하기 때문에 도막형성이 좋아 공정
 합리화에 기여합니다.
 무기질 방수층은 예측하지 못한 사고에 의해 방수층이 일어날지라도 방수층과 콘크리트 구체가 일체화 되어 있으므로 파단부분의
 부분보수만으로도 방수기능을 회복합니다.
 무기질 방수도막은 음료용 수질기준에도 적합하며 최근 문제화되고 있는 지하수오염의 염려가 없습니다.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용출이 없습니다.)

 물 성
 외관 : 백색유탁액 다갈색분
 pH   : 6±1 12±
 인장강도(kgf/㎠) : 15±
 신율(%) : 200±5
 내수용출성(%) : 0.5~1. (물속에 1주일간 침적후 시편의 무게변화를 Check)


 주의사항
 바탕면은 물청소를 깨끗하게 하고,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바랍니다.
 요철부분은 보수하고, 바탕면은 평활하게 합니다 시공전 노출, 비노출 시공방법을 먼저 결정바랍니다.
 시공시 시방서에 명시된 배합비를 정확히 지켜 시공바랍니다.
 각 공정마다 표면건조후 시행바랍니다.
 무기질 에멀젼은 동결방지를 위해 5℃ 이상의 실내에서, 파우스텍스 파우더는 빗물,습기가 없는 건조한 곳에서 보관바랍니다.


 시공순서
 1) 바탕면 처리
    ① 바탕면의 들뜬 부분은 완전 제거하여 보수해야 하며, 방수하고자 하는 바탕면을 평활하게 처리합니다.
    ② 바탕면의 레이턴스 노화부분 등은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완전제거하고 박리제등은 와이어 부러쉬로 긁어 제거하여 줍니다.
    ③ 바탕면의 돌출부 및 공사에 방해가 되는 이물질(모래, 먼지)을 깨끗이 청소합니다.
    ④ 발생된 균열폭이 3㎜ 이상인 경우에는 v컷팅 후 우레탄, 아크릴 씰란트로 충전합니다.
    ⑤ 빈 공간이나 이음부분은 우레탄, 아크릴 씰란트로 충진하여 처리합니다.

 2) 시공
    ① 시공방법은 붓이나 로울러를 사용하여 고르게 도포합니다.
    ② 별도로 포장된 두 성분의 재료 배합은 주어진 배합비대로 전동교반기를 사용하여 충분히 교반합니다.
    ③ 붓, 로울러 사용시에는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균일하게 도포하여야 합니다.
    ④ 멤부레인의 건조는 방수 공사에 사용된 재료가 변질되거나 오염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또 통행을 금지하여 멤브레인의 물리적 손상을 피해야 합니다.

 3) 양생기간
     실내인 경우에는 환기 등의 방법으로 충분히 건조 양생시킵니다. 온도와 습도에 따라 양생기간이 다릅니다.
 4) 보수
     양생후 부풀림, 또는 바탕면과의 접착불량부분은 캇타기로 오려내고 같은 공법의 재료로 보수,양생합니다.
 5) 보호층
     방수층이 완전히 건조 양생된 후 보행용에는 보호모르터, 경보행용에는 TOP COAT로 보호층을 만들어 줍니다.


 시공시 주의사항
  ① 각 부위별 공사시공 순서는 생산자의 사양에 의합니다.
  ② 재료 배합은 주어진 배합비를 정확히 하고, 에멀젼에 파우다를 서서히 투입하며, 100RPM 이상인 전동교반기를 사용, 충분히
      교반합니다.
  ③ 도막방법은 붓이나 로울러를 사용하여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충분한 힘을 가해 도포합니다.
  ④ 기온이 5℃ 이하인 경우는 시공을 금합니다.
  ⑤ 재료 보관시에 0℃ 이하에서 절대 보관하지 말 것. 상온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Copyright © 2005 KadooEnterprise.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금천구 시흥대로 97,1-213호(시흥동,시흥유통상가).
대표전화. (02) 2678 - 9889   팩스.(02)2678 - 8668  Email :
kadoogiup@naver.com